오병이어의 기적, 요한복음 6장 1절~15절에 대해 규티를 하겠습니다.
요한복음 6장 1절~15절
1절 그 뒤에 예수께서 갈릴리 바다 곧 디베랴 바다 건너편으로 가시니
2절 큰 무리가 예수를 따라갔다. 그것은, 그들이 예수가 병자들을 고치신 표징들을 보았기 때문이다.
예수님의 두 번째 표적을 보았기에 많은 무리는 예수님을 따릅니다.
3절 예수께서 산에 올라가서, 제자들과 함께 앉으셨다.
4절 마침 유대 사람의 명절인 유월절이 가까운 때였다.
5절 예수께서 눈을 들어서, 큰 무리가 자기에게로 모여드는 것을 보시고, 빌립에게 말씀하셨다. “우리가 어디에서 빵을 사다가, 이 사람들을 먹이겠느냐?”
빌립에게 묻습니다. “우리가 어디에서 빵을 사다가, 이 사람들을 먹일 수 있겠느냐?”라고 말입니다.
6절 예수께서는 빌립을 시험해 보시고자 이렇게 말씀하신 것이었다. 예수께서는 자기가 하실 일을 잘 알고 계셨던 것이다.
요한서 6절에 의하면 예수님이 빌립을 시험하기 위해 말씀하셨다고 되어 있습니다.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들판에 나와 있습니다. 이때 예수님의 본심은 기적이라도 행하여서라도 많은 사람들을 육과 영으로 먹이고 싶으셨습니다.
7절 빌립이 예수께 이렇게 대답하였다. “이 사람들에게 모두 조금씩이라도 먹게 하려면, 빵 이백 데나리온 어치를 가지고서도 충분하지 못합니다”
빌립을 영특하고 계산이 빠릅니다. 수많은 남자를 대략(5,000명) 세서, 빵의 정확한 수치로 생각하여 가격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절대적인 능력자입니다. 보통 사람은 100명, 숫자만 넘어도 식대 계산이 어렵습니다. 우리도 그렇지 않습니까? 하지만 이런 똑똑한 빌리를 보시며 예수님은 걱정하십니다. 빌립은 똑똑은 하지만 현실의 문제에 걱정만 합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본 예수님의 표적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그냥 현실만 보고 한탄할 뿐이었어요. “군중을 그냥 돌려보내고 밥 먹고 오게 할까요.”라고 하는 현실적인 말만 빌립은 합니다.
우리도 예수님을 믿지만, 실제 문제 앞에서는 예수님께 무릎을 굽고 기도하셔야 합니다. 아마 자신의 능력을 믿고 처리하려는 아둔한 생각을 하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왜냐하면, 매번 그렇게 살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웬만한 작은 일에는 기도를 하지 않습니다. 늘 하던 대로 합니다. 예수님이 나의 구세주면 나를 도우시는 분이라는 사실은 머리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음마저 안 내려오는 아둔함도 함께 우리 안에 있습니다.
8절 제자 가운데 하나이며 시몬 베드로와 형제간인 안드레가 예수께 말하였다.
9절 “여기에 보리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고 있는 한 아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많은 사람에게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아드레가 한 아이가 갖고 온 보리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가지고 옵니다. 하지만 아드레도 순종은 했지만 빌립가 같이 현실을 봅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에게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이 있습니다. 순종하는 아드레가 빌립보다 훨씬 낫다는 점입니다.
빌리은 그냥 포기했지만 아드레는 그래도 할 수 있는 최선의 순종하며 찾아다녔다는 사실입니다. 혹시나 음식을 갖고 온 사람이 있는지를 찾아다녔습니다. 이런 모습의 아드레는 작은 순종이 먼저고 계산과 논리는 나중의 문제였습니다. 아이가 갖고 온 초라한 도시락을 발견하게 되고 예수님께 말씀드립니다. 이는 놀라운 기적의 시초입니다. 사람들은 작은 순종을 가볍게 여기는데, 절대로 주님의 눈에는 작은 게 아닙니다. 이는 놀라운 기적의 시작입니다.
예수님은 모든 사람이 먹고 남은 빵이 열두 광주리의 기적을 보이셨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 기적은 작은 것에 순종할 때 받을 수 있습니다. 인간적인 눈으로 현실을 바라보고 계산하여 포기하면 절대로 예수님의 기적을 바랄 수 없습니다. 아드레의 작은 순종이 큰 기적을 만들었습니다. 인간적인 시각으로 초라하고 보잘것없지만, 주님은 우리의 마음을 보신다는 증거입니다.
10절 예수께서는 “사람들을 앉게 하여라”하고 말씀하셨다. 그곳에는 풀이 많았다. 그래서 그들이 앉았는데, 남자의 수가 오천 명쯤 되었다.
11절 예수께서 빵을 들어서 감사를 드리신 다음에, 앉은 사람들에게 나누어주시고, 물고기도 그와 같이 해서, 그들이 원하는 대로 주셨다.
12절 그들이 배불리 먹은 뒤에,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남은 부스러기를 다 모으고, 조금도 버리지 말아라”
13절 그래서 보리빵 다섯 덩이에서, 먹고 남은 부스러기를 모으니, 열두 광주리에 가득 찼다.
빵 부스러기를 다시 모으라고 하십니다. 왜 이러시는지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단지 절약을 하라고 하시는 것인지?, 아니면 낭비하지 말라고 하는 것인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예수님은 필요하시면 더 기적을 보일 수 있는데 말입니다.
예수님의 빵은 단순하게 배고픔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을 말씀하신 것은 아닙니다. 그 안에 생명의 빵, 자신을 뜻합니다. 예수님의 살이라고 하십니다. 내 몸이라고 하십니다. 그래서 부스러기라도 버리지 말라고 하십니다. 너무나 귀하고 소중한 예수님의 살이기 때문입니다.
14절 사람들은 예수께서 행하신 표징을 보고 “이분은 참으로 세상에 오시기로 된 그 예언자이다”하고 말하였다.
15절 예수께서는, 사람들이 와서 억지로 자기를 모셔다가 왕으로 삼으려고 한다는 것을 아시고, 혼자서 다시 산으로 물러가셨다.
예수님은 피하십니다. 사람들은 빵을 주는 예수님을 왕으로 삼으려고 하십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영생을 주시려고 오신 것이지, 사람들에게 빵을 주는 왕으로 오신 것은 아닙니다. 이들의 잘못된 생각을 피하려고 산으로 가십니다. 여기서 알아야 할 것은 예수님은 여러분의 빵을 주시려고 오신 것은 아닙니다. 여러분이 지금 예수님께 빵만 구하신다면 예수님은 여러분을 피하십니다. 이를 알아야 합니다. 믿는 사람에게는 무서운 얘기입니다. 빵보다 예수님 한 분을 구하세요. 그래야 예수님이 함께하십니다.
내가 혹시 빌립은 아닌지 생각합니다. 저는 세상 주어진 계산만 하고 따지고, 분석하고 판단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예수님이 내 모습을 보고 빌립처럼 생각하지 않는지 반성합니다. 저는 현실에 냉혹함을 잘 알기에 더 그런 것 같습니다. 이런 작은 나의 모습이 예수님을 가리는 행동이라 생각해서 무섭습니다. 예수님 앞에 서 있는 내 모습이 예수님이 이루시는 일들을 방해하지 않는지 깊은 회개를 합니다.
우리가 안 된다. 못한다. 하는 말은 예수님도 안 하신다는 말과 같습니다. 안 되더라도 순종하는 모습이 이어야 예수님도 도우십니다. 우리가 포기하면 주님은 안 도우십니다. 주님의 뜻과 생각을 묻고 꼭 물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한 걸음 순종은 방향을 말합니다. 방향을 어디에 두냐에 따라 내 삶이 변합니다. 주님께 한 걸음을 디딜 때, 놀라운 일들이 일어납니다.
과거의 내 아둔함이 주님께 한 걸음, 나가는 기적을 보고 싶습니다. 하나님 지혜의 길로 가고 싶습니다. 주님 바라보는 일을 절대로 작게 생각하지 않게 하소서. 나의 작은 순종을 통해 내 마음의 오병이어의 기적을 보고 싶습니다.
짧은 이야기
2024년 서울에 있는 교회에서 소외된 이웃을 위해 음식을 나누는 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처음에는 초라한 시작을 하였지만, 그 행사가 주님의 선한 영향력으로 번성하여 지금은 200명 정도 소외된 이웃에 따뜻한 음식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작은 초라하고 작지만, 하나님의 사랑으로 큰 기적을 보여 주셨습니다.
2023년 한 환자가 불치병으로 진단을 받았으나 하나님의 은혜로 새로운 치료법을 통해 치유의 역사가 있습니다.
시작은 할 수 없게 보였지만 주님의 은혜는 늘 기적을 보여 주십니다. 요즘도 이런 오병이어 기적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 출발은 작은 순종 하나로 출발합니다. 밀알 같은 작은 순종이 있어야 큰 열매가 맺을 수 있습니다.
철수와 영이가 똑같은 아침을 맞습니다. 철수는 무거운 몸을 억지로 일으키면서 혼자 말합니다. “아, 이 세상은 왜 이렇게 살기 힘든지, 잠도 제대로 못 자고 매일 출근해야 한다니.” 반면에 영이는 잠자리에서 일어나자마자 새로운 날이 시작되었음을 감사하며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습니다. 그리고 성경 말씀을 읽으면서 하루를 어떻게 살아야 할지 지혜를 얻습니다. 똑같은 아침을 맞는 두 사람이지만, 한 사람은 힘든 아침을 맞고, 다른 한 사람은 기쁜 아침을 맞습니다. 아침은 하루의 시작입니다. 장사하는 사람들은 좋은 손님을 만나야 하루 장사가 잘된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이 원리를 적용해 하나님을 만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한다면 하루가 얼마나 풍성할까요? 만약 요즘 아침이 힘들고 괴롭다면, 바로 실천해 보세요.
하나님을 만나는 아침의 작은 실천과 방향이 큰 은혜의 삶으로 이어집니다.
지금 하시는 일이 어렵고 앞이 캄캄하십니까. 그런 먼저 주님께 순종하고 시작하세요. 지금은 작은 열매지만 주님이 더 큰 열매를 준비하시고 계실 겁니다. 저와 여러분은 작은 순종 하나가 필요합니다.
“나보다 주님이 먼저입니다. 내가 주님께 작은 순종을 하겠습니다”라는 마음을 갖고 하루를 시작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파이팅입니다.
'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안에 마귀가 살 수 없도록 하소서, 요한복음 6장 60절~71절 (0) | 2024.09.10 |
---|---|
주님의 영생(살과 피), 요한복음 6장 47절~59절 (0) | 2024.09.09 |
예수님은 나의 주인이십니다. 요한복음 5장 30절~47절 (1) | 2024.09.05 |
38년 된 병자의 안식일, 요한복음 5장 1절~29절 (0) | 2024.09.04 |
왕의 신하 아들의 두 번째 표적, 요한복음 4장 43절~54절 (1) |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