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신하 아들의 두 번째 표적, 요한복음 4장 43절~54절의 말씀을 큐티하겠습니다.
요한복음 4장 43절~54절
43절 이틀 뒤에 예수께서는 거기를 떠나서 갈릴리로 가셨다.
44절 (예수께서 친히 밝히시기를 “예언자는 자기 고향에서는 존경을 받지 못한다.” 하셨다)
사마리아 여인의 고백 “예수님은 진심으로 예언자이며, 그리스도이심”이라는 것을 모르는 갈릴리 사람들에게 “존경받지 못했다”라고 저자는 쓰며, 갈릴리를 차갑게 말합니다.
예수님은 놀라운 표적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성전에 상인들과 짐승들을 채찍으로 몰아냈습니다. 이런 행동은 아무나 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만이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유대인은 예수님에게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예수님과 교제하려고 했지만, 예수님은 이들을 피하셨습니다. 이유는 그들이 기적을 보고 왔기에 그렇습니다. 진실한 믿음이 아닌 세상의 기적만 보고 따라서 온 사람들은 좋아하지 않으십니다.
45절 예수께서 갈릴리에 도착하시니, 갈릴리 사람들이 예수를 환영하였다. 그들도 명절을 지키러 예루살렘에 갔다가, 예수께서 거기서 하신 모든 일을 보았기 때문이다.
갈릴리 사람들은 예수님의 예루살렘의 행실과 가나 혼인 잔치의 기적을 생각하며 환영합니다.
46절 예수께서 또다시 갈리리 가나로 가셨다. 그곳은 전에 물로 포도주를 만드신 곳이다. 거기에 왕의 신하가 한 사람 있었는데, 그의 아들이 가버나움에서 앓고 있었다.
47절 그 사람은, 예수께서 유대에서 나와 갈릴리로 들어오셨다는 소문을 듣고, 예수께 와서 “제발 가버나움으로 내려오셔서, 아들을 고쳐 주십시오”하고 애원하였다. 아들이 거의 죽게 되었기 때문이다.
갈릴리에 있는 사람, 또 왕의 신하가 예수님께 다가와 자기 아들을 살려달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반갑게 여기지 않으셨습니다.
48절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표징이나 기이한 일들을 보지 않고는, 결코 믿으려고 하지 않는다”
예수님은 “너희는 표징이나 기이한 이들을 보지 않고는 결코 믿으려고 하지 않는다”라고 책망하셨습니다. 왕의 신하는 예수님의 기적만 보고 왔습니다. 그에 반에 사마리아 사람들은 기적도 보지 않고 예수님의 말씀에 그냥 순종하고 믿었습니다. 기적 없이도 얼마든지 믿고 변화될 수 있음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갈릴리는 달랐습니다. 이들의 믿음의 차이는 너무 큽니다. 예수님은 이를 아셨습니다.
49절 그 신하가 예수께 간청하였다. “선생님, 내 아이가 죽기 전에 내려와 주십시오”
50절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돌아가거라 네 아들이 살 것이다” 그는 예수께서 자기에게 하신 말씀을 믿고 떠나갔다.
예수님은 두 번이나 간청하는 왕의 신하에게 "돌아가거라 내 아들이 살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왕의 신하를 돌려보내습니다. 왕의 신하는 순간 갈등이 생깁니다. 조금 허무하기도 하고요. 예수님이 직접 오셔서 고쳐 주셨으면 하는 생각이 맘에 강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조금 의심은 있지만, 예수님의 말씀에 순종하기로 하고 그냥 가버나움으로 발길을 돌립니다.
51절 그가 내려가는 도중에, 종들이 마중 나와 그 아이가 살았다고 보고하였다.
52절 그가 종들에게 아이가 낫게 된 때를 물어보니 “어제 오후 한 시에, 열기가 떨어졌습니다”하고 종들이 대답하였다.
왕의 신하는 예수님이 와서 아들을 꼭 살리려는 기적을 바라고 왔지만, 하지만 예수님의 말씀에 순종하고, 그냥 내려갑니다. 그리고 내려가는 도중에 종을 만났는데, 종들이 대답하는 시각을 맞춰보면, 아들은 말씀하신 그 시각에 사는 기적을 깨닫고 놀랍니다.
53절 아이 아버지는 그때가, 예수께서 그에게 “네 아들이 살 것이다”하고 말씀하신, 바로 그 시각인 것을 알았다. 그래서 그와 그의 온 집안이 함께 예수를 믿었다.
예수님이 말씀하신 그 시간입니다. 말씀과 동시에 왕의 신하의 아들이 살아난 겁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마음의 믿음을 보십니다. 믿는 자는 예수님의 기적을 볼 수 있습니다. 왕의 신하와 그 집안 식구들 모두 예수를 믿게 됩니다. 예수님이 원하시는 뜻에 따라, 왕의 신하도 믿음의 눈이 뜨인 겁니다.
54절 이것은 예수께서 유대에서 나와서 갈릴리로 돌아오신 뒤에 행하신 두 번째 표징이다.
첫 번째 표적도 순종으로부터 시작됩니다. 표적은 완전한 순종에 대상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가나 혼인 잔칫집에도 순종하였더니 물이 포도주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왕의 신하가 예수님의 말에 순종하였더니 아들이 나았습니다. 예수님이 모든 문제의 해결자라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내 문제가 있을 때, 분명히 예수님이 고치실 거라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그냥 기적만 바라보는 믿음은 내 삶에서 죽는 그날까지 믿음을 지킬 수 없습니다. 그래서 믿음 있는 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믿고 기다리면 가장 좋은 방향으로 인도하심을 끝까지 구하는 겁니다. 쉽게 말하면 예수님의 사람은 그냥 “예수님 한 분만 충분하십니다”라고 고백하는 사람입니다.
너무 세상의 받을 상만 구한다면 하늘에서 받을 상이 없습니다. 세상의 상만을 구하는 사람은 그래서 어리석습니다. 물론 주님은 주시지만 늘 겸손하게 받고 감사해야 합니다.
짧은 말씀
윌리스는 원래 무신론자였고 기독교를 부정적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는 기독교가 거짓이고 인류에 해롭다고 자주 말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친구인 봅 잉거졸이 예수의 생애를 바탕으로 로맨스 소설을 쓰면 인기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이 이야기에 흥미를 느낀 윌리스는 소설을 쓰기 위해 성경과 예수님에 대한 자료를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그는 예수님을 만나게 되었고, 결국 예수님 앞에서 무릎을 꿇게 되었습니다. 이후 그는 "나는 예수님에 관한 이야기를 발견했을 뿐만 아니라, 그를 내 마음에 모시게 되었다"라고 고백했습니다.
성경의 말씀에 힘이 있습니다. 그 안에 성령이 있습니다. 절대로 변화하지 않을 것 같은 사람도 성령이 오시면 변합니다. 그래서 힘이 있다고 말하는 겁니다. 매일 성경의 말씀을 깨달게 되면 우리 자신은 자연스레 순종하게 만듭니다. 오늘 우리도 왕의 신하처럼 간절한 기도가 있으시면 왕의 신하보다 더 간절하게 예수님의 말씀에 순종해야 합니다. 그래야 삽니다. 예수님이 항상 나의 중심(진심)을 보십니다. 예수님은 순종의 믿음을 원하십니다.
오늘 하루도 사마리아 여인의 고백처럼 믿음의 고백을 하시는 하루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병이어의 기적, 요한복음 6장 1절~15절 (0) | 2024.09.06 |
---|---|
예수님은 나의 주인이십니다. 요한복음 5장 30절~47절 (1) | 2024.09.05 |
38년 된 병자의 안식일, 요한복음 5장 1절~29절 (0) | 2024.09.04 |
사마리아 여인의 고백, 요한복음 4장 3절~19절 (2) | 2024.09.02 |
성경 큐티(QT) 방법 (0) | 2024.08.30 |